The Voice that beautifies the World: ARITA
Typojanchi 2019: 6th International Typography Biennale
We have a deep interest in addressing and responding to the issues of our time through design, publishing, and other creative practices. Our work focuses on identifying and capturing the various potentials of visual language around the intersection of culture, industry, and art. Our practice aims to amplify oppressed voices and reveal overlooked phenomena in our society.
frontdesk@planeandvertical.com
Publication inquiries
press@planeandvertical.com
Follow us
Europium
Julia Novitch
818 architects
sowayo architects
cement
Founded and published by Yuseon Park and Immanuel Yang of PLANE AND VERTICAL. Soft Hard will soon be launching a new form of platform.
Miguel Gajdos
Jeemin Shim
Avery Youngblood
Jessica Flemming
Anouk Beckers
J. Chen (Limestone Books)
Manual of Manual
Last Updated 25.04.30
ISBN
저자
정가
페이지수
크기
발행일자
발행형태
분류
979–11–979577–2–7
아눅 베커스, 실라 르브랑 드 브레트빌, 박유선, 제시카 플레밍, 에이버리 영블러드, 미겔 가이도스, 심지민, J.첸, 임마누엘 양
18,000원
52쪽
W182×H257mm, 99g
2024년 12월 31일
중철제본
디자인, 예술
Printed Matter
Draw Down Books
UK
Good Press
NL
Limestone Bookshop
KR
더북소사이어티
유어마인드
알라딘
YES24
The theme of the inaugural issue, “in conversation,” reflects on the various connections and dialogues that arise as different practices evolve.
Soft Hard는 다국어 뉴스레터이자 출판물로, 문화예술 종사자들을 위한 실험적 플랫폼입니다. 디자이너, 건축가, 예술가, 큐레이터, 작가, 독립 출판인 등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지닌 전문가들이 참여합니다. 『Soft Hard』는 느슨하고 비선형적인 구조를 통해 변화하는 관심사와 환경에 대응하고자 합니다.
『Soft Hard 1』의 주제는 “대화 중(In Conversation)”으로, 다양한 실천들이 발전해 가는 과정에서 형성되는 연결과 대화를 성찰했습니다.
아눅 베커스는 은색 잉크로 인쇄된 점선을 따라 잘라내고, 종이를 접으며, 구성된 모습을 관찰하고 주름을 잡아가는 놀이적 작업을 제안합니다.
실라 르브랑 드 브레트빌과 박유선의 대화는 아이 볼트 목걸이를 만드는 방법에 대한 이야기로 시작되었습니다. 작업, 교육, 그리고 최근 열린 대규모 회고전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는 과정에서 대화는 개인과 공동체, 그리고 더 큰 차원에서의 소속감의 의미에 대한 성찰로 이어집니다.
제시카 플레밍과 에이버리 영블러드의 글은 『Soft Hard 1』의 주제인 “In Conversation”를 탐구한 여정입니다. 두 디자이너는 대화 기록을 AI가 합성한 내용을 바탕으로 글을 주고받으며, 삶, 디자인, 공간 창조 사이의 연결고리를 탐구합니다.
미겔 가이도스와 심지민의 타임라인은 2020년부터 디자인과 방법론에 대한 공동의 질문에서 출발합니다. 두 디자이너는 밈, 리서치, 작업 결과물, 스케치 등을 수집해 타임라인을 완성했습니다.
라임스톤 북스를 공동 설립한 J.첸은 호텔 객실 청소를 하며 손님들이 머리맡에 남긴 책을 사진으로 기록했습니다. 호텔과 서점에서의 일은 모두 흔적을 지우고, 질서를 유지하며, 삶을 돌보는 작업으로 이어집니다.
“설명서의 설명서”는 참여 디자이너들이 각자의 방법론으로 시간과 공간을 탐구한 결과물을 공유한 전시로, 2024년 여름 서울에서 열렸습니다. 디자이너들의 탐구와 실험, 공유를 통해 시간과 공간을 횡단하며 창작의 다양한 가능성을 제시합니다.
참여 디자이너: 김규빈, 김유진, 김현수, 나세연, 박채현, 백신영, 송민지, 신채원, 심가, 안가영, 양서연, 양정원, 오연서, 우유민, 장이정, 정예은, 조서영, 진서영, 최혜림, 한수영, 허지민, 황지후
During Open Studios, Immanuel Yang hosted a pre-launch event for Soft Hard, a publication she is developing in collaboration with Yuseon Park, a publisher and graphic designer based in Seoul. Its loose, nonlinear structure aims to serve as both a newsletter and a creative playground for cultural workers. Each new issue will invite a wide range of professionals from diverse backgrounds—designers, architects, independent publishers, writers, artists, and curators, among others—to share glimpses of their recent work in response to a given theme. The theme of the inaugural issue, “in conversation,” reflects on the various connections and dialogues that arise as artistic practices evolve.
Credit: Jan van Eyck Academie
Photo Credit: Immanuel Yang, Open Studios 2024. ©Jan van Eyck Academie. June 21, 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