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NE AND VERTICAL
Information
Collections
Shop
Follow us


frontdesk@planeandvertical.com
press@planeandvertical.com

2026 Designing Type Revivals (coming) Publishing
2025 National Hangeul Museum Project (coming) Exhitbition, Interaction, Installation
2025 Soft Hard 2: Side (coming) Publishing
2025 Hwang Changbae Museum: 非非設計 Exhibition, Video
2024 Macao Design Award 2023 Seoul Exhibition, Graphic
2024 Soft Hard 1: In Conversation Publishing
2024 What is Conservation? 보존이란 무엇인가? Publishing
2023 Verge Publication
2023 Hongik University Wayfinding and Signage Guidelines Identity, Signage
2023 Hongik University Brand Identity Guidelines Identity
2023 Arita Galaxy / The Voice that beautifies the World: ARITA Exhibition, Interaction
2023 Yale School of Art Photo Lecture Series: Baldwin Lee Typeface
2022 Yale School of Art Photo Lecture Series: Ed Atkins Video
2022 What is Research? 리서치란 무엇인가? Publishing
2021 Soyawo Branding Identity
2021 Chae Su Hyun: Forest Art Direction, Graphic
2021 J house Photography
2021 C residence Photography
2020 Amorepacific Group Sustainability Report Art Direction
2020 The Journey of Arita Publication, Art Direction
2019 On Plants / Typojanchi 2019: 6th International Typography Biennale Exhibition, Installation
2019 One Stepping Stone 2015–2019 Art Direction, Graphic, Installation
2019 100 Films, 100 Posters Graphic



보존이란 무엇인가?
What is Conservation?


도서명 보존이란 무엇인가?
원서명 WHAT IS CONSERVATION?
ISBN 979–11–979577–1–0
저자 피터 N. 밀러
역자 박유선
디자이너 임마누엘 양
커버 촬영 다 핑 루오
정가 25,000원
페이지수 128쪽
크기 W127×H178mm, 128g
발행일자 2024년 11월 15일
발행형태 무선제본
분류 사회과학
SHOP 알라딘
교보문고
예스24
더북소사이어티
유어마인드
고스트북스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미술책방

도서 소개이 책은 ‘보존’을 넓은 시각에서 바라보며 그 중요성을 탐구하는 비전통적 안내서입니다. ‘보존’, ‘보전’, ‘복원’이 지닌 다양한 가능성과 의미를 깊이 있게 논의하기 위해 뉴욕 바드 대학원 센터에서 진행된 대담을 피터 N. 밀러가 엮어낸 기록입니다. 이 대화에는 생명공학·전기 및 시스템 공학·물리학 및 천문학·신경과학 교수 대니 S. 바셋, 시인이자 번역가 피터 콜, 학제 간 융합 예술가 제프리 깁슨, 시인 캠벨 맥그래스, 전산·행동 과학 교수 센딜 멀레이너선, 다큐멘터리 감독 스탠리 넬슨, 작가 겸 예술가 로렌 레드니스, 진화 생물학자 베스 샤피로, 천문학 명예 교수 데이비드 N. 스퍼겔, 곤충학자 말라 스피박, 은세공 전문가 우발도 비탈리, 비교문학 및 문학 이론 교수 에밀리 윌슨이 참여했습니다. 같은 해, 뉴욕 바드 대학원 센터 갤러리에서는 전시 《Conserving Active Matter》도 함께 열렸습니다.
미리 보기p.19
에밀리 윌슨: 저는 문학 연구자이자 역사학자이며, 동시에 번역가로도 활동하고 있습니다. 번역가로서 저는 무언가를 복제한다는 것의 의미에 대해, 즉 일종의 동등성을 만들어낸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끊임없이 고민합니다. 이는 오늘 대화에서 언급된 보존, 보전, 복원이라는 개념과 맞닿아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의미론적 동등성뿐만 아니라 음향적, 문체적, 혹은 리듬적 동등성을 어떻게 구현할 수 있을지도 지속적으로 고민합니다. 또한, 한 언어에서 완전히 다른 언어로 텍스트를 옮길 때 그 본질을 보존하거나 보전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 때로는 불가능하다는 점에 대해서도 늘 생각하고 있습니다.
p.57
스탠리 넬슨: 나머지 99%의 인터뷰 내용은 대중에게 공개되지 않고 그대로 사라져 버립니다. 점점 이런 자료들을 공개하려고 노력하고 있지만, 대부분은 그렇게 되지 않습니다. 결국 그 사람의 전체 이야기가 아닌, 영화 속 작은 클립으로 그들의 인격이 요약되어 버리는 셈이죠. 그렇지만 큰 틀에서 보면, 우리는 여전히 이야기를 보존하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영화 「블랙 팬서」에서는 블랙 팬서의 이야기를 아주 독특한 방식으로 보존했습니다. 프레드 햄튼의 이야기도 다른 영화나 방식으로 다뤄질 수 있었겠지만, 우리만의 방식으로 전했습니다.
p.59
대니 S. 바셋: 과학의 이야기가 어떻게 보존되는지, 혹은 왜곡되는지, 그리고 원래의 과학 이야기를 어떻게 복원할 수 있을지에 관심이 많습니다. 그래서 과학이 이야기되고 받아들여지며 참여되는 방식에서 편견을 발견하고 이를 완화하기 위해 노력한다는 점에서 제 작업을 보존과 복원 작업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편견은 여성, 성 소수자, 소외된 인종이나 민족 출신의 사람들이 과학 이야기에서 체계적으로 배제되는 결과를 초래합니다. 따라서 모든 과학자의 발견이 공평하게 공유되고, 모두가 참여할 수 있도록 편향을 완화하는 것이 바로 보존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복원은 이러한 편향된 역사적 구조 속에서 잃어버린 이야기나 발견을 다시 찾아내는 과정입니다.
p.61
피터 콜: 11세기 스페인 중세 히브리 시를 번역하면서 절임과 보존 사이의 차이에 대해 흥미를 느꼈습니다. 강연이나 낭독을 할 때도 종종 피클과 보존을 비교하곤 합니다. (중략) 피클은 좋아하지만, 그런 식의 보존은 마치 생명을 멈추게 하는 것처럼 느껴졌습니다. 저는 번역이 어떤 식으로든 변화를 수반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보존가가 대상을 다루며 그 과정에서 일어나는 변화가 번역의 일부로, 즉 새로운 시간과 장소, 새로운 언어로 이동하는 과정에 자연스럽게 포함되기를 바랐습니다. (중략) 보존은 저에게 스스로를 돌아보게 하는 개념이기도 합니다. 나이가 들수록 새로운 반응을 유지하고, 신선하게 반응하는 능력을 보존하는 것이 점점 더 어려워진다고 느끼는데, 이것이 바로 ‘피클’이 되지 않기 위한 과정이라고 생각합니다. 기억의 관점에서도 스스로를 보존하는 것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하게 됩니다.
p.92
우발도 비탈리: 우리는 종종 어떤 물체의 본질을 완벽하게 복원하려는 꿈을 꿉니다. 하지만 그 이상을 추구하기보다는 그 이야기를 가능한 한 잘 전달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복원 작업에서 우리는 이야기를 새롭게 만드는 것이 아니라, 그 이야기를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리고 그 이야기를 반복해서 들려줄 때마다 내용은 조금씩 달라지죠. 즉, 대상에 개입해 본질을 파괴하는 것이 아니라, 그 안에 저와 여러분의 모든 것이 조금씩 들어 있습니다. 우리가 하는 모든 일은 결국 우리의 선택의 결과입니다. 하지만 이런 한계가 오히려 모든 것에 대해 두려워할 필요가 없다는 확신을 주기도 합니다.



저자 소개
피터 N. 밀러는 뉴욕 바드 대학원 센터에서 학장 겸 문화사 교수로 재직 중이며, 17세기 초 골동품 연구가 니콜라 파브리 드 페이레스크(Nicolas Fabri de Peiresc)에 대한 책 시리즈, 유럽 골동품 연구의 역사, 그리고 사물의 증거를 활용한 현대 연구에 관한 저서를 집필했습니다. 그는 《Dutch New York Between East and West: The World of Margarieta van Varick》(BGC, 2009), 《What Is the Object?》(BGC, 2022), 《Conserving Active Matter》(BGC, 2022) 등의 전시를 공동 기획했으며, 앤드루 W. 멜론 재단의 지원을 받아 BGC에서 10년간 진행해 온 “보존의 문화” 프로젝트를 전시와 웹사이트로 마무리 지었습니다. 그의 주요 관심사는 전문 역사가뿐만 아니라 큐레이터, 보존가, 예술가들이 수행하는 연구의 ‘방법’과 ‘원인’에 관한 것입니다. 밀러는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하버드 대학교에서 학사 및 석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그는 2001년부터 바드에서 근무했으며, 이전에는 케임브리지 대학교, 시카고 대학교, 메릴랜드 대학교(칼리지 파크)에서 강의했습니다. 또한 런던 대학교 바르부르크 연구소, 베를린 고등연구소(Wissenschaftskolleg zu Berlin/Institute for Advanced Study)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마르세유 사회과학고등연구원(École des Hautes Études en Sciences Sociales)과 파리 고등사범학교(École Normale Supérieure)에서 방문 교수를 역임했습니다. 그는 미국 인문학 기금(National Endowment for the Humanities), 구겐하임 펠로십, 맥아더 펠로십을 수상했습니다.